회고

[커널아카데미] 백엔드 12기 11주차 회고 - 본질에 집중하기

OptimizerStart 2025. 6. 8. 23:05

[커널아카데미] 백엔드 12기 11주차 회고 - 본질에 집중하기

 

학습한 내용

  • Spring Boot 학습 (JPA, 스프링 데이터 JPA, 스프링 부트 화면 개발, 스프링 시큐리티)
  • Spring 강의 - 쿠키, 세션, 예외 처리 
  • Spring 과제 - 세션으로 id 저장하기 
  • 디자인 패턴 - State, Adapater 패턴 

Spring Boot는 Spring을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이다. 그래서 사용 방법만 향후 실습을 통해 익히고 지금은 Spring 학습과 실습에 집중하려한다. 

작성한 블로그 

[Spring] Ch02.Spring MVC (19) 회원가입 화면 작성하기, (20)@GetMapping, @PostMapping (22) redirect와 forwarding

https://optimizer.tistory.com/39

 

[Spring] Ch02.Spring MVC (19) 회원가입 화면 작성하기, (20)@GetMapping, @PostMapping (22) redirect와 forwarding

회원가입 화면 작성하기 url 경로에서 resources 없애는 법location에서 /로 바꾸면 됨.servlet-context.xml (웹 관련 설정 파일)root-context.xml (non-web 설정 파일) method="GET/POST"default = GET쿼리 스트링으로 사용자

optimizer.tistory.com

 

[Spring] Ch02.Spring MVC (23) 쿠키(Cookie)란 ~ (26) 세션(Session) - 실습 (2)

https://optimizer.tistory.com/40

 

[Spring] Ch02.Spring MVC (23) 쿠키(Cookie)란 ~ (26) 세션(Session) - 실습 (2)

쿠키 Cookie정적 리소스 파일 위치webapp > resources 폴더 내ex. css 파일Cookie ⭕ 암기정의클라이언트 식별 기술. 신분증특징Map 쌍으로 구성된 작은 정보쿠키의 이름은 알파벳과 숫자만 이용. 아스키 문

optimizer.tistory.com

 

 

도전과 어려움 

  • Spring 과제 - 세션으로 id 저장하기
    • <c:url> 문법
      • JSTL과 EL 태그를 많이 사용하는데 <c:url value="경로"> 에서 태그 1개로 쓸 경우 <c:url value="경로" /> 슬래시로 끝나지 않으면 문법 오류가 발생. 직접 눈으로 잡아내는 것이 오래 걸렸다. 
    • 페이지간 데이터 유지 저장할 객체 선택
      • 페이지를 이동할 때 데이터를 보내고 싶으면 유효 범위 scope 객체에 저장할 때와 단순 내장 객체 (param)에 저장할 때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지 못해, 페이지 이동만 되는 객체 중 아무거나 썼었음. 
      • 사용자 입력 값( 쿼리, 폼) 읽기는 -> param 객체로 !!
      • 서버에서 만든 메세지나 객체를 다른 페이지로 전달할 때는 -> 유효 범위 scope 객체로!!
  • 시간 관리나 학습 속도 관련 고민
    • 실제 DB 연동과 게시판 만드는 실습은 GPT의 도움 없이 내 사고로만 코드를 짜려다 보니 속도가 더디다.
    • 졸업 프로젝트 기간이 임박하여 
  • 동료들과의 협업에서 느낀 점
    • 이번 주 토이 프로젝트에서 매칭된 팀원들과 피어 세션을 가졌는데, 서로 알고 있는 것이 많아 배워갈 것이 많을 것 같아 기대가 많다.

성장 포인트

  • 1주 전의 나와 비교해서 달라진 점
    •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세션을 이용하여 로직을 직접 생각 및 구현할 수 있음
    • CSS의 display: flex 속성 이해 완료 -> 로그인, nav 바 직접 구현 가능 
    • Spring Boot 이해 -  스프링 데이터 JPA, 스프링 부트 화면 개발, 스프링 시큐리티
  • 코딩하면서 느낀 재미있었던 순간들
    • 개발자 도구에서 네트워크 탭에 요청과 응답이 예상과 다르게 보일 때 호기심이 생겼다. 
      특히, 헤더 Set-Cookie는 서버가 응답으로 보낼 때만 응답 요소에 존재하고, Cookie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나 이런 클라이언트야라고 식별할 때 쓴다는 걸 알게 되었다. 이전에는 둘이 같은 존재인 줄 알았었다. 

앞으로의 계획

  • 다음 주에 집중하고 싶은 영역 
    • 게시판 만들기 2회
    • 타 사이트 결제. 배송 모델링 분석
  • 보완하고 싶은 부분
    • 오후 자습 시간에 피곤함이 주로 느껴지는데, 이때는 잠깐 산책하면서 머리 깨우기 
    • 학습한 내용은 배운 이후 블로그에 바로 작성하기 -> 마감 임박해서 적으면 마무리가 깔끔하지 못함. 
  • 개인 학습 목표
    • Spring 정석 강의 완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