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49

[커널아카데미] 백엔드 12기 18주차 회고 - 설계에 집중했고 이제는 구현에 집중

이번 주 내가 한 일 주제영역정의서, 표준용어정의서 작성논리 모델링, 물리 모델링 설계 테스트 데이터 삽입 (아파트 관련 데이터, 고객 데이터, 마이데이터 동의 이력) 시퀀스 다이어그램 작성 (팀원과의 소통을 위한!) 이번 주 느낀 점 설계의 중요성. 문서 정리하다보면 이해가 된다.주제영역정의서, 표준용어정의서 같은 ERD 관련 문서들 작성하면서 '기존 서비스에 어떻게 LangChain을 위한 설계를 덧붙여 설계해야하는지 문제를 정의하고, 해결 방법을 정리하고 그 중에서 우리의 상황에는 어떤 방법이 최선이겠다'라는 사고 과정을 거칠 수 있었습니다. 특히 주제영역정의서를 작성하면서 서비스의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. 표준용어정의서는 처음 작성해보는 것이라 막막했는데, 표준용어정의서를 작성해보신 팀원 분이 있어..

회고 2025.07.27

[커널아카데미] 백엔드 12기 17주차 회고 - 갑자기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할 때 해야할 것은 ? 공부와 공유

한 주 회고 2주간의 파이썬과 랭체인에 대한 수업을 마치고 바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들었던 생각은 '어디서 부터 무엇을 해야하지?' 였습니다. 파이썬에 대한 문법은 간략히 이해했지만 랭체인 오픈소스 코드를 보면서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었습니다. 파이썬틱(Pythonic)한 코드가 무엇인지, 파이썬의 철학을 코드에서 어떻게 이해를 해야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았습니다. 그래서 제가 한 방법은 랭체인 실습코드 'import os'부터 왜 어떻게 가져오는지 하나씩 알아보며, 주석에 설명을 쓰고, 클론 코딩을 하며 이해를 했습니다. 하지만 단순히 AI 가 만들어준 코드를 따라치면서 코드 한줄의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를 하는 것은 프로젝트 초기 진행에 도움을 주진 못했습니다. 큰 시스템의 설계를 하려면 각 ..

회고 2025.07.20

[커널아카데미] 백엔드 12기 16주차 회고 -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무엇을 남길 것인가? 나의 생각 바꾸기

# 나의 생각 바꾸기 : 소프트웨어로 만드는 것도 중요LangChain 프레임워크 사용법과 원리를 배우면서 느꼈던 것은 '내가 딥러닝 원리(CNN, Transformer, LSTM 등)을 제대로 모르는데, 이걸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?'였다. 이번 주 강병호 강사님의 AI 산업 특강을 듣고 Q&A 시간을 통해 이 감정은 해소 되었다. 당연히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현타(?)를 느낀다고 하셨다. 하지만 실제 돌아가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개발을 하면서 다시 이론으로 돌아갔을 때 배우는 게 있을 거라 하셔서 답답한 마음이 사라졌다. # 부트캠프에서 남길 것 부트캠프를 벌써 절반 정도 진행된 상태이다. 하지만, 처음 들었던 때와 달리 지금은 여기서 해야할 것에 치여..

회고 2025.07.13